홈페이지 제작을 의뢰할 때 도움이 되는 주요 용어를 알기 쉽게 이미지와 함께 설명을 했습니다. 용어를 어느 정도 이해하면 업체와 더 효과적인 소통이 가능하고, 좀 더 디테일한 요구를 할 수 있으며, 정보의 비대칭도 어느 정도 해소가 됩니다.
‘레몬 마켓 (Lemon Market)’ 이란 용어를 들어보셨나요?
레몬 마켓은 판매자보다 상품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소비자들이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양질의 제품을 구입할 가능성이 낮아지는 시장으로 중고차 시장이 레몬 마켓의 전형적인 사례가 됩니다.
겉만 번지르하고 맛을 알면 먹기 힘든 레몬 같은 홈페이지 제작 업체를 피하기 위해서 최소한의 용어라도 알고 접근하면 불이익을 당하게 되는 확률이 줄어듭니다.

알면 도움 되는 홈페이지 제작 용어

일반적으로 홈페이지라고 칭하는 것이 실제로 웹사이트를 의미합니다. 홈페이지는 웹사이트의 최상위 페이지를 의미하고 각각의 페이지는 웹페이지이고, 웹페이지 전체를 가리켜 웹사이트라고 하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그러나 홈페이지가 더 많이 통용되는 표현이므로 ‘웹사이트 24’도 이 용어를 기본으로 하고 병행해서 쓰고 있습니다.

외부 링크를 통하여 방문자가 처음 접하게 되는 페이지로서 말 그대로 마케터의 의도대로 착륙(Landing)을 유도하는 페이지입니다.

Search Engine Optimization의 약자로서 ‘검색엔진 최적화‘로 해석되며, 네이버나 구글 검색 결과에서 홈페이지가 상위에 위치하는데 큰 역할을 하는 기술적인 노력을 의미합니다. 홈페이지 디자인은 세련되고 이쁜데 검색결과 3 페이지 밖으로 밀려나 아무도 찾아 주지 않으면 의미가 없습니다. SEO가 그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전문가가 아니면 홈페이지 파일이 저장되는 서버를 운영하기 어렵기 때문에, 매월 일정 액수를 지불하여 서버를 임대하는 것을 웹호스팅이라고 하는데 여기에 웹사이트 원본 파일과 DB가 저장됩니다.

전통적인 홈페이지는 데스크탑 화면 사이즈에 맞추어 제작되었는데, 모바일 사용이 증가하면서 텍스트, 이미지, 레이아웃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사이즈에 맞게끔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홈페이지 디자인입니다. 데스크탑에만 맞춰진 기존 홈페이지는 스마트폰 화면에서 절반 정도 잘려서 나오기 때문에, 요즈음은 모바일 반응형이 기본이고 모바일 접속자 수도 8:2 정도로 우세하므로 필수입니다.

웹페이지에서 서버와 송수신되는 정보를 암호화하는 보안 인증서(SSL)가 설치된 주소가 https이고, http로 시작하는 구형 URL은 주소창에 ‘주의 요함’이 나타나 사용자에게 찜찜함을 유발합니다. 특히 회원가입이나 결제 시스템 같은 개인정보를 다루는 모든 웹사이트는 보안 인증서 설치가 필수이고, 어길 시에는 최대 3천만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Payment Gateway의 약자로서 결제를 대행해 주는 업체를 의미합니다. 카드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PG사를 거쳐야 하고, 만약 PG사를 이용하지 않으면 각 카드사 별로 직접 가맹을 맺어야 하며 결제 가능한 프로그램도 구축해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PG사가 대신해주는 것입니다.

웹페이지에 접속을 하면 텍스트나 이미지가 실제는 내 PC나 스마트폰에 다운이 되어 보이는 것입니다. 이때 트래픽이 발생했다고 하는데, 사용자가 많아지면 당연히 트래픽도 많아지게 됩니다. 웹호스팅을 이용하면 웹사이트 파일 전체가 저장되는 웹용량 외에도 하루 단위의 트래픽 양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 양을 초과하게 되면 홈페이지 접속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sitemap은 웹사이트에 있는 모든 페이지, 글, 동영상 등의 URL 주소를 모아 놓은 파일로서 검색봇이 빠르게 수집하도록 도움을 주는 xml 형식의 파일입니다. 홈페이지가 완성되면 네이버는 웹마스터 도구에, 구글은 서치콘설에 각각 웹사이트를 등록하는데 이때 사이트맵도 같이 제출하게 됩니다.

Meta Description을 해석한 표현으로 검색 결과의 제목 바로 밑에 있는 2~3 줄 정도 길이의 짧은 글로서 웹사이트나 각각의 웹페이지 내용을 요약해서 설명합니다.

Snippet은 작은 조각이란 뜻으로 검색 결과 최상단에 나타나는 정의, 표, FAQ 등의 간결한 정보를 제공하는 글입니다.

Cache는 웹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텍스트나 이미지 같은 파일이 PC에 임시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웹사이트와 PC 간의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텍스트를 수정하거나 이미지를 교체하고 업데이트를 해도 이미 저장된 캐시 때문에 수정된 내용이 바로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때 캐시를 삭제하면 바뀐 내용이 정상적으로 나타납니다.

favorite icon의 합성어로서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페이지 탭이나 북마크에 표시되는 작은 아이콘을 의미합니다.

Header는 페이지 상단에 로고와 메뉴 등이 위치하는 공간으로서 페이지를 이동하더라도 고정되어 있습니다.

Footer는 페이지 하단에 회사명, 전화번호, 주소 등이 위치하는 공간으로서 페이지를 이동하더라도 고정되어 있습니다
용어를 꼭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홈페이지 제작 과정에서 고객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홈페이지 제작 업체를 선정하거나 견적을 서로 비교할 때에도 도움이 됩니다.
홈페이지 제작과 관련된 전문 용어가 실제는 많이 있지만, 대략 15개 정도만 이해해도 어느 정도 소통에 도움이 됩니다.